복지정보 대전시 사회적자본 확충한다더니…장애인생산품 외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획송민정 댓글 0건 조회 1,770회 작성일 13-03-19 13:20본문
(대전=연합뉴스) 양영석 기자 = 대전시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이 제정돼 총 구매액의 1%를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신뢰와 배려, 협력, 나눔 등 사회적 자본 확충을 외치는 시의 정책 방향과도 어긋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해 총구매액 집계 결과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중이 1%를 넘은 기관이 한 곳도 없었다.
물품 구입비와 수리비 등 지난해 총구매액 1천596억여원 중 장애인 생산품 구매비는 5억8천여만원에 그쳤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대전시가 0.34%에 그친 것을 비롯해 중구가 0.26%로 가장 낮았고, 서구 0.28%, 유성구 0.46%, 대덕구가 0.65% 순으로 조사됐다.
중증장애인 상품은 주로 사무용 복사용지, 화장지, 핸드타올, 인쇄물 등으로 일반 상품과 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장애인 생산품이 외면받으면서 대전시가 줄곧 외쳐온 사회적자본 확충 방향과 궤를 달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시청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사회적 자본 확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 초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새 정부 기조에 맞춰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정작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다는 기존 약속마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전시의 한 관계자는 "이달 중순 자치구 국장회의에서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를 독려하는 등 각 실과와 5개 자치구에 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oungs@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2008년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이 제정돼 총 구매액의 1%를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신뢰와 배려, 협력, 나눔 등 사회적 자본 확충을 외치는 시의 정책 방향과도 어긋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대전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지난해 총구매액 집계 결과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중이 1%를 넘은 기관이 한 곳도 없었다.
물품 구입비와 수리비 등 지난해 총구매액 1천596억여원 중 장애인 생산품 구매비는 5억8천여만원에 그쳤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대전시가 0.34%에 그친 것을 비롯해 중구가 0.26%로 가장 낮았고, 서구 0.28%, 유성구 0.46%, 대덕구가 0.65% 순으로 조사됐다.
중증장애인 상품은 주로 사무용 복사용지, 화장지, 핸드타올, 인쇄물 등으로 일반 상품과 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장애인 생산품이 외면받으면서 대전시가 줄곧 외쳐온 사회적자본 확충 방향과 궤를 달리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시청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사회적 자본 확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올 초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새 정부 기조에 맞춰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정작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다는 기존 약속마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전시의 한 관계자는 "이달 중순 자치구 국장회의에서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를 독려하는 등 각 실과와 5개 자치구에 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를 지속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oungs@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3-29 10:48:54 복지정보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