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서울시, 사회적 약자기업 구매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획송민정 댓글 0건 조회 2,017회 작성일 13-02-26 13:22본문
지난해 보다 6% 증가… 3조6010억원 규모
장애인생산품 구매 늘려 파급효과 최대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3-02-25 15:00:50

서울시는 올해 시, 16개 투자·출연기관, 25개 자치구의 일년치 총 구매 규모 중 70% 이상을 사회적 약자기업에서 구매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지난해는 구매 목표로 정한 전체 제품 구매 규모의 69%인 3조3,877억원 보다 1,675억원 더 많은 3조5,552억원을 구매했다. 2011년 2조9,727억원 대비 20%(5,825억원) 증가한 수치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우선구매 실시 등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중증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기업, 장애인기업, 자활기업 등을 ‘희망기업’으로 정하고, 서울시의 구매력을 활용해 지원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까지 이에 포함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단순히 물품․서비스 등을 구매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약자기업의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다양한 채널의 유통망 구축과 자생력·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 지원프로그램을 투트랙(two-track)으로 추진, 취약계층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적 기업 등이 추구하는 착한 가치들이 우리 사회에 확산되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먼저 제품 구매지원에 있어 시는 지난해 구매실적을 분석해 '중점관리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를 늘려 파급효과를 최대화 한다는 계획이다.
'중점관리기업'은 희망기업 중에서도 취약계층을 많이 고용하는 등 기업 활동의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중증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기업과 자활기업을 말한다.
지난해 중점관리기업에서 무려 700억원을 구매, 전년 257억원 대비 17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점관리기업의 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물품의 경우 쓰레기봉투, 인쇄, 복사용지 등 노동집약적인 제품이 많았으며, 용역과 공사는 교육, 청소, 집수리 등 근로제공 형태가 많은 것이 눈에 띄는데, 이는 구매 확대가 취약계층의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주요 구매 품목 중 희망기업의 진입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 납품을 유도하고, 한 기업에서 대규모 생산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대규모 구매라도 쪼개어 구매할 수 있는 건에 대해서는 여러 기업으로 분리 발주를 추진한다.
특정 품목에 대해서는 중점관리기업의 제품만을 구매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또, 사회적 약자기업의 자생력 강화와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종합지원책으로는 ▲입찰 탈락 기업 실패원인 분석·지원 ▲연간 구매 정보 사전 공개 ▲공공구매지원센터 설치 ▲온라인·모바일·케이블 채널 활용한 유통판매망 확대 ▲희망 서울 구매 엑스포 개최 등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공공구매 입찰에 탈락한 희망기업별 입찰 탈락원인을 분석하고, 취약부분을 보완해 공공구매 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정책도 상반기 중 가동한다.
이와 관련해 희망기업의 주요 취약 부분으로 꼽히는 디자인과 기술력 등 업체별 탈락원인을 분석하고, 지원가능한 부분을 돕는 패키지 프로그램을 준비 중에 있다.
http://www.ablenews.co.kr/News/NewsTotalList.aspx?PageNo=1
에이블뉴스
정윤석기자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3-29 10:48:54 복지정보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