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공지사항

복지정보 장애인차별금지법 5년…여전히 과제 ‘산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획송민정 댓글 0건 조회 2,088회 작성일 13-02-26 11:20

본문

긴 시간동안의 노력을 통해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이하 장차법). 국회의장의 ‘땅.땅.땅.’ 의사봉이 내리치던 2007년 3월, 장차법 가결 소식에 국회 앞 장애인들의 환호소리가 잊혀 지지 않는다. 2008년 제정된 이후, 5년이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최근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 발간한 ‘2012 장애인백서’ 속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유동철 교수는 앞으로 장차법이 해나가야 할 과제를 제안했다.

■장차법, 5년 동안 많이 컸다=먼저 장차법 시행 이후 장애인 차별에 따른 진정건수가 급증한 것이 눈에 띈다. 국가인권위원회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4주년 기념 토론회 자료집을 보면, 지난 2001년 11월 위원회 설립이후 장차법 시행 이전 인권위에 접수된 차별사건 4269건 중 장애차별 진정사건은 653건으로 20.4%를 차지한다.

그러나 장차법 시행 이후 접수된 변화를 보면 2008년에는 전체 차별 진정사건 1111건 중 52.7%인 585건, 2011년도에는 전체 차별진정 사건 1802건 중 48.5%에 해당하는 총 874건의 장애차별 진정사건이 접수됐다. 장차법 제정 후 1년 동안 장애차별 진정건수가 그 이전 7년 동안의 진정건수를 넘어설 정도로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

정부에서도 2008년 관계부처로 구성된 정부합동대책반을 통해 각 분야의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을 논의하는 등 일원적 관리체계가 가동됐다.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법무부 등 15개 부처로 구성돼 있는 대책반은 장애인차별개선 모니터링, 장차법과 상충되는 법령 및 제도 정비, 분야별 ‘차별예방 가이드라인’마련 등에서 협력 중이다.

이어 인권위에서는 정당한 편의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으며, 행정안전부도 웹 접근성 지침, 고용노동부에서는 고용 영역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이외에도 국민 인식 개선 활동으로 장애인 먼저 운동을 전개, 언론매체를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활동, 장애이해 교육 및 장애인시설 봉사활동 등이 진행되며, 장차법을 알리고 있다.

■‘장애’ 처음부터 시작해야=5년 동안 발전해온 장차법. 앞으로 해나가야 할 것은 뭘까? 먼저 유 교수는 법·제도적 과제를 들며, 장애의 개념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장차법에서는 장애를 “신체적, 정신적 손상 또는 기능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개인의 일상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상 장애개념과 거의 동일한 상태.

그런데 급부를 제공하기 위한 장애인복지법과 차별을 금지하고자 하는 장차법의 장애개념이 유사한 것은 매우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

에이블뉴스

이슬기기자
http://www.ablenews.co.kr/News/NewsTotalList.aspx?PageNo=5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3-29 10:48:54 복지정보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