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장애인시설, 아동·노인시설 비해 턱 없이 부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기획송민정 댓글 0건 조회 1,813회 작성일 13-01-31 23:45본문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시설이 시·군·구 당 평균 11개소로, 아동·노인시설보다 턱 없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가족부(장관 김금래)는 지난 18일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230개 기초자치단체와 16개 시·도의 가족친화 사회환경 인프라 실태와 모범사례를 조사한 것으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도 포함됐다.
시·군·구 당 평균 노인시설은 307개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동관련시설 231개소, 지역주민시설 133개소로 뒤를 이었다.
장애인시설의 경우 시·군·구 당 평균 11개소로 였으며, 청소년시설은 3.2개소로 여타 시설보다 평균 설치 수가 턱 없이 적었다.
장애인시설에는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 의료재활시설,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체육시설, 심부름센터, 수화통역센터, 점자도서관이 포함된다.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22&NewsCode=002220130122173751467632
여성가족부(장관 김금래)는 지난 18일 2012년 5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230개 기초자치단체와 16개 시·도의 가족친화 사회환경 인프라 실태와 모범사례를 조사한 것으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도 포함됐다.
시·군·구 당 평균 노인시설은 307개소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동관련시설 231개소, 지역주민시설 133개소로 뒤를 이었다.
장애인시설의 경우 시·군·구 당 평균 11개소로 였으며, 청소년시설은 3.2개소로 여타 시설보다 평균 설치 수가 턱 없이 적었다.
장애인시설에는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 의료재활시설,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체육시설, 심부름센터, 수화통역센터, 점자도서관이 포함된다.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22&NewsCode=002220130122173751467632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3-29 10:48:54 복지정보에서 이동 됨]
- 이전글노로바이러스 감염증, 3월까지 유행 '주의보' 13.01.31
- 다음글뼈가 약해지는 ‘골다공증’, 고령환자 '주의보' 13.01.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