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시설거주 장애청소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용수 댓글 0건 조회 1,476회 작성일 18-07-31 08:30본문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180730135833595618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시설거주 장애청소년
63.2%가 자립 희망…법적 근거 NO·정책 부족
가족중심 통합지원, 자립 전제 주거서비스 필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8-07-30 14:59:15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청소년 자립지원 강화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청소년에 대한 자립욕구와 지원현황을 살펴보고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시설에서 생활하는 비장애청소년이 전체 비장애청소년(1149만4613명)의 0.14%(16만924명)인 비해 26배나 높다.장애유형별로는 지적장애가 49.2%(4만4158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뇌병변장애(14.2%) 순이다.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를 포함하는 발달장애는 약 70%(5만9239명)를 차지했다.
자립지원서비스에서는 비장애청소년의 경우는 진로탐색이나 취업 기술 훈련, 직장생활기술 훈련 등이 중점을 이루고 있는 반면 거주시설에 있는 장애청소년의 경우 일상생활지원, 의사소통 지원 등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설 입소 ‘돌봄’ 주 원인…
자립 희망 63.2%이번 연구에서 설문에 참여한 시설거주 장애인청소년 415명 가운데, 장애청소년의 연고자 유무 현황을 살펴보면, ‘연고 있음’ 비율은 64%(258명)로 나타났다.
이어 ‘이곳에서 (특수)학교를 다닐 수 있어서’(19.9%), ‘내가 자립생활, 자립을 경험하고 싶어서’(11.9%) 순으로 나타났다.‘장애가 심해서’ 시설에 들어왔다고 응답한 비율은 8.7%에 불과했고 이들은 돌봄과 교육이 필요해서 입소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장애청소년의 자립과 관련해서는 거주시설에서 나와 일반 집에서 살고 싶다고 생각해본적이 ‘있다’에 63.2%(256명)이 응답했다.앞으로 살고 싶은 거주 유형과 관련해서는 일반아파트 35.3%(145명)와 거주시설(지금 살고 있는 집) 34.5%(142명)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들은 자립 시 거주할 공간, 일자리, 소득 등이 마련되기 바랐다.
■“장기적 자립지원 정책 개발”, “전담인력 배치”
이번 연구에서 거주시설종사자 150명을 대상으로,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장애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방안에 대해서 3가지 선택하도록 질문한 결과, ‘체계적인 자립준비를 위한 장기적 자립지원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가 82명(19.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자립준비지원을 위한 전담인력의 배치 및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65명(15.6%), ‘장애청소년들을 위한 자립생활을 체험할 공간(체험홈 등)이 필요하다’ 45명(10.8%) 순으로 나타났다.
최경숙 한국장애인개발원장은 “거주시설 장애청소년의 자립지원을 위해서는 장애인복지법, 아동복지법등 관련법을 개정해 자립을 희망하는 거주시설 장애청소년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가족중심의 통합지원서비스 체계 구축, 자립생활주택, 자립형 그룹홈 등 자립생활을 전제로 한 주거서비스 지원을 통해 궁극적으로 장애아동과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해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03-29 10:47:52 복지정보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